우리바이오 주가 전망 실적 화이자 백신 관련주
실적은 3분기 기준입니다.
* 이 포스팅은 제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목차
1. 우리바이오 주가 및 재무
2. 우리바이오 소개
3. 우리바이오 연혁
1. 우리바이오 주가 및 재무
우리바이오가 장 중에 상한가를 기록하고 시간외에서도 상한가를 유지하며 8,110원으로 마무리 됐습니다.
12월 2일 영국이 화이자의 코로나 백신을 긴급사용 승인을 했다고 합니다.
우리바이오가 화이자 관련주로 엮인 이유는 이숭래 대표이사가 한국화이자 임원 출신이어서입니다.
우리바이오 일봉에서 큰 매물대를 돌파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오후 2시 30분부터 우리바이오에 큰 거래가 붙으며 상한가까지 쭉 상승했습니다.
2020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은 231.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했습니다.
주요 LED칩 공급자들이 출혈경쟁을 멈추고 가격을 올리면서 LED PKG, 완제품의 가격안정 및 LED업체들의 제값 받기로 인한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바이오는 기존 전자부품 사업 위주의 사업형태를 2019년 사명 변경을 통하여 식물공장을 기반으로 하는 천연 소재물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사업부로 진출했습니다.
2. 우리바이오 소개
우리바이오는 2019년 신수종사업으로 헬스케어 산업을 선정하고, 첨단 광원 기술에 식물 재배 기술을 융합한 천연물 식물공장을 구축했습니다.
산학 협력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진행 중. 2,000평 규모의 GMP 인증 건강기능식품 제조 공장을 운영, 연질캡슐 등 첨단 제조시설 기반으로 B2B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헬스케어 사업의 다각화로 B2C 사업부 신설해 차별화된 건강기능식품을 고유 브랜드로 런칭. 전국 약국 진입 예정입니다.
우리우리바이오 대표이사는 차기현, 이승래 대표이사입니다.
우리E&L, 양주우리전자유한공사, 우리ATEC주식회사 등이 있습니다.
우리바이오는 F-PCB 연성회로기판 제조 및 LCD 관련 부품을 판매하고 있고, 건강기능식품 및 식물공장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 사업은 2002년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이 제정되고, 동 법률에 따라 식약청에서 고시하거나 개별적으로 인증 받은 제품에 한하여 '건강기능식품'이라는 품목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고유한 시장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법률 시행 이후 2006년 식약청에서 인정하는 우수 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을 도입하고 2010년에는 사전광고심의 제도를 도입하는 등 품질 신뢰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성별, 연령과 상관없이 단일 품목으로 판매되었지만 최근 시장은 다양한 기능의 맞춤형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또한 이러한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최근 기능성 원료 인정 현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원료의 기능별 인정현황은 과거 비타민 등의 영양소 균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수요층이 20~30대로 확대되고 있어 영양소 보충 등 균형을 위한 섭취와 더불어 다이어트, 피부건강 등의 제품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상품과 관련된 기능성 원료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수요 증가 및 시장의 변화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의 글로벌 시장규모는 2009년 803억 달러에서 2015년 1,179억 달러 수준으로 46.8%가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는 CAGR(연평균성장률) 7.3%씩 성장하여 1,551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시장 역시 16년 3조 6천억원에서 17년 4조 3천억원으로 약 17.2% 성장하였으며, 19년도 이후로도 견조한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총 487개중 약 350개 업체가 매출액 10억 미만으로 대부분 영세한 사업여건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바이오는 기존 전자부품 제조를 위하여 구축한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초기 투자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형 건강기능식품업체와 유사한 생산능력을 갖추고 원가 경쟁력을 지닐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FPCB 사업
우리바이오가 개발, 생산하는 M,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휴대폰, LCD모듈, 카메라모듈, 디지털카메라, 광픽업(ODD), 가정용일반LED, 자동차용LED 등을 생산하는 제조 업체 입니다. 고객의 대부분은 엘지상사, 엘지전자, 엘지이노텍, 우리이엔엘 뉴옵틱스 등 국내 대형 전기전자 제조업체들이며 일본과 대만 등 해외 고객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가장 F-PCB 수요가 많은 휴대폰 제조사들을 보면 삼성전자 및 엘지전자 계열 등이 주요 고객이며 M-PCB는 엘지상사 등이 주요 고객입니다.
제3의 신규업체 확보를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는 우리이엔앨에 자동차 전장사업관련 F-PCB를 공급하고 있으며 우리이엔앨은 F-PCB LED PKG 가공 후 다시 LGD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3. 우리바이오 연혁
2004년 | 4월 | KSA 9001:2001/ISO 9001:2000 인증 |
2004년 | 7월 | 벤처기업확인(제 041625211-1-00571) |
2004년 | 10월 | EEFL(외부전극 램프) 출시 |
2005년 | 7월 |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
2006년 | 6~8월 | 자사주 매입 65만주 |
2007년 | 5월 | SEFL(원가절감형램프) 출시 |
2007년 | 12월 | LED 백라이팅 광원사업 신규 진출 |
2008년 | 2월 | (주)뉴옵틱스 계열회사 추가 |
2008년 | 4월 | 자사주 매입 58만주 |
2008년 | 6월 | 우리E&L(주) 계열회사 추가 |
2008년 | 11월 | 자사주 매입 75만주 |
2009년 | 2월 | 우리E&L(주) 유상증자 참여 1,170만주 |
2009년 | 4월 | 무상증자 100% 실시 |
2010년 | 7월 | IE HK 유상증자 참여 10,010주 |
2010년 | 8월 | 우리LST(주) 유상증자 참여 4,600만주 |
2011년 | 6월 | 우리나노필(주) 계열회사 추가 및 유상증자 참여 30만주 |
2011년 | 12월 | IE HK 유상증자 참여 20,000주 총 30,010주 보유(지분율 75%) |
2012년 | 1월 ~ 12월 |
IE HK 지분 총 40,010주 보유 (지분율 100%) IE SZ의 극한에너지(홍콩)유한회사 매각 우리LST(주) LED CHIP 제조회사의 사업자 폐지 및 말소 우리VINA(주) CCFL 제조라인 설비 전량 폐기 및 생산중단 |
2013년 | 1월 | M.F-PCB 조명용LEDPKG ,MOBILE 용 회로기판 제조사업 진출 및 1차 MAIN 공정 외 설비 발주 |
2013년 | 9월 | M.F-PCB 조명용LEDPKG ,MOBILE 용 회로기판 제조사업 진출 및 2차 MAIN 공정 외 설비 발주 |
2013년 | 10월 | 자사주 매입 749,063주 |
2013년 | 12월 | New Optics USA, Inc 계열회사 추가 |
2013년 | 12월 | New Optix MX S.A. de C.V 계열회사 추가 |
2013년 | 12월 | (주)아이엠텍 계열회사 추가 |
2014년 | 7월 | IE HK 2차전지 제조회사 사업자 폐지 및 청산 |
2014년 | 12월 | New Optix RS S.A. de C.V 계열회사 추가 |
2016년 | 6월 | 향림전자산품유한공사 계열회사 추가 |
2017년 | 1월 | (주)아이엠텍 계열회사 제외 |
2017년 | 4월 | New Optix (HUIZHOU) ELECTRONIC LTD 계열회사 추가 |
2019년 | 3월 | 우리이티아이주식회사 → 우리바이오주식회사 상호 변경 |
2019년 | 5월 | 건강기능식품 생산 및 영업활동 활동 개시 |
2020년 | 7월 | 자사 브랜드 솔루에타, 신비락 등 출시 |
우리바이오 주가 전망 실적 화이자 관련주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