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테마 주가 전망 실적
실적은 2020년 1분기 기준입니다.
제테마가 중국 시장에 보툴리눔 톡신 공급 및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8월 4일 밝혔습니다.
제테마는 중국의 화동닝보사와 150억원 규모의 선급 로열티 및 5500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2024년 허가를 취득하여 10년간 최소 5500억원 규모의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제부터 제테마는 어떤 기업인가?? 제테마 주가 및 재무, 역사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다 보시고 나면 대충은 어떤 기업인지 알 수 있을겁니다.
목차
1. 제테마 소개
2. 제테마 주가 및 재무
3. 제테마 연혁
1. 제테마 소개
제테마는 안면미용 목적의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조직 봉합 및 안면 고정 리프팅실, 피부과용 전문 레이저 의료기기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를 합니다.
실의 돌기 모양을 개선하여 시술 시 조직을 과하게 당겨 놓을 필요가 없는 4세대 리프팅실(에피티콘)을 개발하여 스트레스 감소 및 효과 지속시간을 개선했습니다.
히알루론산 필러 부문은 리도카인 성분을 첨가하여 시술 대상자의 통증을 현저히 완화시킨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제테마 대표이사는 김재영 대표이사입니다.
김재영(외 17인) 대표이사가 제테마 주식의 30.32% 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기관이 8일 연속 순매도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주가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제테마와 경쟁사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제테마가 압도적을 높았습니다.
그리고 경쟁사들의 수익률은 비슷비슷 했습니다.
히알루론산 필러
글로벌 히알루론산 필러 시장은 2017년 29억 달러 수준이었으며 이후 4년간 연평균 7% 성장률을 보이며 2021년 3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필러 시장 현황 및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침습적 안면 미용성형 시술이라는 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시장은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성장과 함께 확대되고 있으며 이렇게 전체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기존 선두 업체들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히알루론산 필러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는 앨러간의 쥬비덤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면서도 보톡스와 함께 신흥시장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10% 이상의 높은 매출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시장의 경우 톡신과 유사하게 시장 초기 단계에 앨러간의 쥬비덤과 갤더마의 레스틸렌 등 외국 브랜드가 지배적이었으나 LG화학이 국산 히알루론산 필러를 출시하고 이후 휴젤, 메디톡스 등이 수입품 대비 낮은 가격으로 시장에 진입하며 시장 점유율을 빠른 속도로 늘려나갔습니다.
2017년 기준 국내 필러 시장은 약 1,250억원 규모로 추정되며 2021년까지 4년간 연평균 10%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1년 약 1,800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필러 시장 현황 및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크게 미용 톡신 시장과 치료용 톡신 시장으로 구분되며 이 중 제테마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시장은 미용 톡신 시장입니다.
미용 목적과 치료용 목적을 모두 포함한 전세계 톡신 시장 규모는 2012년 22억달러에서 2018년까지 연간 12% 성장하여 2018년 기준 43억 달러(약 5.2조원) 수준이었으며 향후 6년간 연평균 8.4%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며 2024년 70억 달러(약 8.4조원)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최대 톡신 시장은 미국으로 2018년 기준 약 3.3조원 규모로 추정되며 전세계 톡신 시장 중 약 60% 수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제테마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미용 톡신 시장이 약 1.3조원 규모이며 치료용 톡신 시장은 2조원으로 미용 시장 대비 50% 이상 큰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유럽을 비롯하여 한국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신흥국을 포함하는 미국 외 톡신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2조원 규모로 추정되며 이 중 국내 톡신 시장의 규모는 약 1,0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됩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 미국과 달리 거의 대부분이 미용 목적의 보툴리눔 톡신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나, 미에 대한 관심 증대와 가격 인하추세로 인한 수요증가에 힘입어 2020년까지 연 평균 5% 수준의 성장을 통해 1억 2천만 달러 수준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장품 관련주/테마주
화장품 관련주/테마주 2019년 한국 화장품 산업 규모는 2018년 대비 13% 증가한 43조 8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삼성증권). 코리아나 화장품 제조사. 라비다, 자인, 녹두, 세니떼, 엔시아 등의 브�
cashflow99.tistory.com
주요 제품의 매출 비율은 국내 10.24%, 수출 34.8%입니다. 그리고 기타 제품의 내수 비율이 52.13%이며 35억원의 매출 실적을 냈습니다.
1분기에 총 약 68억의 매출실적을 냈습니다.
- 보툴리눔 톡신 균주 A,B,E Type 상용화 라이선스 도입 계약
- JETEMA THE TOXIN(보툴리늄톡신) 독점판매 계약
작년 2019년에는 충북대와 분당서울대, 오송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KBIO)와 기술제휴 계약을 맺은 바 있습니다.
2020년 1분기 인건비는 약 7억 5천만원, 감가상각비는 약 4억원 그리고 기타 비용을 합쳐서 총 연구개발비용은 약 23억원이 나왔으며 매출액의 2.87%를 차지합니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 복합체 (M.W. 900kDa)
- 치료용: 국소성 근긴장 이상증, 경직, 만성통증, 다한증 등
- 미용용: 얼굴주름(미간곡선, 눈가주름 등) , 그 외 타액, 알러지 질환 등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M.W. 150kDa)
- 치료용: 국소성 근긴장 이상증, 경직, 만성통증, 다한증 등
- 미용용: 얼굴주름(미간곡선, 눈가주름 등), 그 외 타액, 알러지 질환 등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E형 복합체
- 치료용: 국소성 근긴장 이상증, 경직, 만성통증 등
- 미용용: 얼굴주름(미간곡선, 눈가주름 등), 발한, 타액, 알러지 질환 등
히알루론산 필러
-e.p.t.q. S500: 코, 턱, 광대, 안면부 윤곽 교정
-e.p.t.q. S300: 뺨, 팔자주름의 일시적인 개선
-e.p.t.q. S100: 이마, 관자의 주름 및 볼륨 증대
-e.p.t.q. S50: 눈밑 애교, 입술라인의 교정
2. 제테마 주가 및 재무
7월 하락세를 보이다가 7월 말부터 먼저 계약 소식 들었는지...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8월 4일 29,300원을 기록했습니다.
장 종료 후 시간외에서 상한가를 치고 32,200원을 기록합니다.
연도별 최고 주가만 보면 2019년 12,500원, 2020년 1분기 13,350원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8월 29,300원을 기록 후 시간외에서 32,200원을 기록합니다.
2020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38.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했습니다.
부작용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Cross-linked HA필러의 Platform 기술 개발이 완료단계에 이르렀으며 2020년까지 임상승인이 완료될 경우 최초의 바디필러 정식 허가로 매출의 극대화가 예상됩니다.
미용성형 시장뿐 아니라 향후 적응증 확대를 통해 다양한 HA필러 및 신제품 개발을 계획 중입니다.
3. 제테마 연혁
나파모스타트 관련주 대장주 최신판
나파모스타트 관련주 대장주 최신판 나파모스타트가 램데시비르보다 더 강력하게 코로나 바이러스에 효과를 보인다는 소식에 나파모스타트 관련주들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cashflow99.tistory.com
2009년 | 7월 | ㈜프로넥스 설립 및 벤처기업인증 |
GGBC 경희대 피부공학센터 참여기업 | ||
2010년 | 4월 | 엑시머 레이저 개발 성공(아시아 최초) |
6월 | ㈜프로넥스 산학연과제 선정(중소기업청) | |
10월 | 중국 Shandong KexingBioproducts, Co. Ltd. 2세대 개량바이오 공동개발 partnering | |
2011년 | 2월 | 팜스젠 공동협력개발(차세대 바이오베터) |
6월 | 산업기술정보지원업체 선정(수원시/KISTI) | |
9월 | 대웅제약 루피어데포주 공동판촉 계약 | |
10월 | 벤처기업 등록 | |
약물전달체 특허(특허 제10-1078302) | ||
2012년 | 8월 | 이노비즈 등록 |
2013년 | 6월 | 벤조일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손상 치료용 조성물 특허(특허 제10-1279022) |
8월 | 의료기기 제조업 허가 & 품목허가(수출용) | |
11월 | 본점이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59길 26, 1층(청담동, 히든힐 하우스) | |
2014년 | 6월 | 휴먼메디칼 주식회사 흡수합병 |
7월 | 대표이사 변경(남정선 → 전영하) | |
HA Filler(Rejeunesse Shape)의료기기 시험검사 제출(KTR) | ||
본점이전 :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49, 1104호(성수동1가, 코오롱디지털타워 3차) | ||
8월 | 정읍 방사선 연구원 기술애로사업 진행 및 MOU 체결 중 | |
10월 | 리제노뷰 필러 해외 수출 등록 | |
Regenovue HA 필러 시리즈 출시(풀 라인업) | ||
2015년 | 2월 | (주)제테마 용인공장(지점) 설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중앙로16번길 16-25, 502호 (중동, 대우프론티어 1단지) |
3월 | 용인공장 설립 | |
필러 수출용 품목허가 | ||
유니벨로 임상시험 | ||
7월 | 본점이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59길 26, 2층(청담동, 히든힐하우스) | |
10월 | 연구개발 전담부서 설립 | |
2016년 | 2월 | 본점이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623, 15층(삼성동) |
3월 | 대표이사 변경(전영하 → 김재영) | |
필러 CE 인증 | ||
2017년 | 2월 | 원주 기업도시 신공장 부지 계약 |
3월 | 필러제품 1종(Sub-Q) 국내 품목 허가 | |
6월 | 주식회사 프로넥스 → 주식회사 제테마 | |
7월 | 필러제품 6종 국내 품목 허가 | |
12월 | 원주 기업도시 신공장(cGMP) 건설 개시 | |
2018년 | 1월 | 톡신 제품 비임상 개시 |
6월 | 코스닥 상장 주관사 한국투자증권 계약 체결 | |
10월 | IPO지정 감사법인 삼정회계법인 외부감사계약 체결 | |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 ||
본점이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68길 6-14, 2층-6층(삼성동, 슈피겐 에이치큐 빌딩 비동) | ||
11월 | 본점이전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가곡리 1283-4 | |
(주)제테마 용인공장(지점) 이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중앙로16번길 16-25, 315, 501, 502, 517, 518호 (중동, 대우프론티어 1단지) |
||
(주)제테마 서울사무소(지점) 설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68길 6-14, 2층-6층(삼성동, 슈피겐 에이치큐 빌딩 비동) |
||
12월 | 에피티콘 국내 품목 허가 | |
원주 기업도시 신공장 준공 | ||
2019년 | 3월 | 원주공장 준공식 |
4월 | 무상증자 실시(100%, 재원 : 주식발행초과금) | |
6월 | 코스닥 시장 상장 동의 이사회 결의 | |
11월 | 2019년 11월 14일 코스닥시장 상장 | |
2020년 | 1월 | 국소 주사용 조성물 특허(제10-2064864) |
2월 | 브라질 FUNSHINE Inc.와JETEMA THE TOXIN(보툴리늄톡신) 공급계약 체결 |
제테마 주가 전망 실적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댓글